
권고사직 뜻
권고사직은 회사가 먼저 퇴사를 제안하고, 근로자가 그 제안을 동의해 퇴사하는 형태를 말해요. 즉, 회사가 “힘들면 퇴사하는 건 어떨까요?”라고 권유 → 본인이 동의 → 사직서 제출하는 방식입니다.
그래서 권고사직은 회사 제안 + 본인 동의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해요.
권고사직 vs 자진퇴사 vs 해고 차이
| 구분 | 누가 결정? | 특징 | 실업급여 가능? |
|---|---|---|---|
| 권고사직 | 회사 제안 + 근로자 동의 | 합의 형태의 퇴사 | 가능 ⭕ |
| 자진퇴사 | 근로자 본인 | 스스로 관둔다 | 일반적으로 ❌ |
| 해고 | 회사 | 회사 일방 통보 | 가능 ⭕ |
권고사직이 자주 발생하는 상황
- 인원 감축, 구조조정
- 부서 축소, 직무 변경
- 성과 부진으로 지속적 개선 요청 이후
핵심은 강요가 아닌 합의라는 점이에요. 압박·협박·선택지 없음 형태라면 부당해고로 인정될 수 있어요.
권고사직이면 실업급여 받을 수 있을까?
네, 받을 수 있어요. 권고사직은 “비자발적 이직”으로 인정되기 때문에 실업급여 수급 가능성이 높습니다.
단, 다음 요건은 충족해야 해요.
- 퇴사 전 18개월 중 고용보험 가입 180일 이상
- 일할 의사와 능력 있음
- 퇴사 후 구직활동 진행
- 이직확인서 사유가 회사 사정(권고사직)으로 표기
권고사직 제안받았을 때 체크해야 할 것
- 보상 조건은 반드시 서면으로 받기
- 퇴직금, 연차수당 포함 정산 내역 확인
- 사직서 바로 쓰지 말고 숙려 기간 요청 가능
- 이직확인서 사유 확인 필수
많이 하는 오해 정리
- 권고사직 = 자진퇴사 ❌ (실업급여 측면에서 완전히 다름)
- 사직서 쓰면 실업급여 못 받는다 ❌ (사유가 핵심)
- 권고사직은 무조건 손해다 ❌ (보상+실업급여 조합이면 더 유리한 경우 있음)
정리
- 권고사직 뜻 = 회사 권유 + 본인 동의
- 자진퇴사와 다르며 실업급여 가능
- 조건은 반드시 서면으로 명확하게
- 이직확인서 사유 표기가 가장 중요
※ 상황마다 유불리가 다를 수 있으니, 중요한 판단 전에는 고용센터·노무 전문가 상담을 추천합니다.
반응형
'유용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권고사직 사유, 이렇게 쓰면 분쟁 줄고 실업급여도 수월합니다 (0) | 2025.11.06 |
|---|---|
| 권고사직 위로금, 얼마가 적정할까? (계산법·세금·합의서 문구 총정리) (0) | 2025.11.06 |
| 합의이혼 위자료, 받을 수 있을까? (금액·청구방법·주의사항 완벽 정리) (0) | 2025.11.05 |
| 합의이혼 양육권 완전 가이드 (친권·면접교섭·양육비까지 한 번에) (0) | 2025.11.05 |
| 합의이혼 숙려기간 총정리 (자녀 유무별 기간·단축 방법까지 쉽게 설명) (0) | 2025.11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