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용한 정보

권고사직 뜻, 한 번에 이해하기 (자진퇴사·해고와 차이, 실업급여까지)

just smile 2025. 11. 6. 09:08

권고사직 뜻, 한 번에 이해하기 (자진퇴사·해고와 차이, 실업급여까지)
권고사직 뜻, 한 번에 이해하기 (자진퇴사·해고와 차이, 실업급여까지)

 

 

 

권고사직 뜻

권고사직은 회사가 먼저 퇴사를 제안하고, 근로자가 그 제안을 동의해 퇴사하는 형태를 말해요. 즉, 회사가 “힘들면 퇴사하는 건 어떨까요?”라고 권유 → 본인이 동의 → 사직서 제출하는 방식입니다.

그래서 권고사직은 회사 제안 + 본인 동의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해요.

 

 

권고사직 vs 자진퇴사 vs 해고 차이

구분 누가 결정? 특징 실업급여 가능?
권고사직 회사 제안 + 근로자 동의 합의 형태의 퇴사 가능 ⭕
자진퇴사 근로자 본인 스스로 관둔다 일반적으로 ❌
해고 회사 회사 일방 통보 가능 ⭕

 

 

 

권고사직이 자주 발생하는 상황

  • 인원 감축, 구조조정
  • 부서 축소, 직무 변경
  • 성과 부진으로 지속적 개선 요청 이후

핵심은 강요가 아닌 합의라는 점이에요. 압박·협박·선택지 없음 형태라면 부당해고로 인정될 수 있어요.

 

 

권고사직이면 실업급여 받을 수 있을까?

네, 받을 수 있어요. 권고사직은 “비자발적 이직”으로 인정되기 때문에 실업급여 수급 가능성이 높습니다.

단, 다음 요건은 충족해야 해요.

  • 퇴사 전 18개월 중 고용보험 가입 180일 이상
  • 일할 의사와 능력 있음
  • 퇴사 후 구직활동 진행
  • 이직확인서 사유가 회사 사정(권고사직)으로 표기

 

 

권고사직 제안받았을 때 체크해야 할 것

  • 보상 조건은 반드시 서면으로 받기
  • 퇴직금, 연차수당 포함 정산 내역 확인
  • 사직서 바로 쓰지 말고 숙려 기간 요청 가능
  • 이직확인서 사유 확인 필수

 

 

많이 하는 오해 정리

  • 권고사직 = 자진퇴사 ❌ (실업급여 측면에서 완전히 다름)
  • 사직서 쓰면 실업급여 못 받는다 ❌ (사유가 핵심)
  • 권고사직은 무조건 손해다 ❌ (보상+실업급여 조합이면 더 유리한 경우 있음)

 

 

정리

  • 권고사직 뜻 = 회사 권유 + 본인 동의
  • 자진퇴사와 다르며 실업급여 가능
  • 조건은 반드시 서면으로 명확하게
  • 이직확인서 사유 표기가 가장 중요

※ 상황마다 유불리가 다를 수 있으니, 중요한 판단 전에는 고용센터·노무 전문가 상담을 추천합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