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용한 정보

상속세 면제한도, 자녀에게 얼마나 물려줘야 세금이 안 나올까?

just smile 2025. 11. 17. 12:27

상속세 면제한도, 자녀에게 얼마나 물려줘야 세금이 안 나올까
상속세 면제한도, 자녀에게 얼마나 물려줘야 세금이 안 나올까

 

 

 

상속세 면제한도, 자녀에게 물려줄 때 어디까지 세금 없이 가능할까?

부모가 자녀에게 재산을 물려줄 때 가장 궁금한 부분이 바로 “얼마까지는 상속세를 내지 않을 수 있을까?”입니다. 상속세는 전체 재산에서 여러 공제를 뺀 뒤 남은 금액에만 세금이 붙는 구조라, 자녀 상속세 면제한도를 제대로 이해해두면 상속 계획을 훨씬 유리하게 준비할 수 있어요.

 

 

상속세 면제한도의 핵심은 ‘공제 총합’

자녀에게 상속할 때 상속세가 0원이 되려면 적용 가능한 공제를 모두 더한 금액 이하인 경우입니다. 즉, “자녀에게 얼마까지 무조건 면제된다”는 고정 수치가 아니라, 공제 조합에 따라 달라지는 구조예요.

1. 기초공제 2억 원

상속이 발생하면 무조건 적용되는 기본 공제입니다. 상속인 수와 관계없이 한 번만 적용돼요.

2. 자녀 1인당 5천만 원 공제

상속인이 자녀인 경우 자녀 1명당 5,000만 원씩 공제됩니다. 자녀가 2명이라면 1억 원, 3명이라면 1억 5천만 원까지 공제가 늘어나요.

3. 미성년 자녀 추가공제 (해당 시)

19세 미만 자녀에게 상속하는 경우, 성인이 될 때까지 남은 연수 × 1,000만 원을 추가로 공제합니다. 예를 들어 15세 자녀라면 4년 × 1,000만 원 = 4,000만 원 공제 가능해요.

4. 일괄공제 5억 원

기초공제, 자녀공제 등 여러 공제를 모두 계산하지 않고, 총액 5억 원을 한 번에 공제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 대부분의 경우 일괄공제가 더 유리해 실무에서도 가장 많이 적용돼요.

 

 

 

자녀 기준 상속세 면제한도 예시

1. 성인 자녀 1명에게 상속

  • 기초공제 2억
  • 자녀공제 5천만 원

합산하면 2억 5천만 원이지만, 일괄공제 5억 원을 선택할 수 있어 자녀 1명 기준 약 5억 원까지는 상속세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.

2. 자녀가 2명인 경우

  • 기초공제 2억
  • 자녀공제: 1억 (5천만 × 2명)

합산은 3억이지만, 이 경우도 보통 일괄공제 5억 원이 더 유리합니다. 즉, 자녀 수가 많아도 기본적인 면제 범위는 5억 전후로 시작해요.

3. 미성년 자녀 1명인 경우

예: 14세 자녀 4,000만 원 추가공제가 가능하지만, 역시 일괄공제와 비교해 유리한 쪽을 선택합니다. 실제로는 대부분 5억 원 면제 기준이 유지되는 구조예요.

 

 

배우자가 함께 상속하는 경우, 면제 한도는 더 커진다

실제 상속에서는 배우자와 자녀가 함께 상속받는 경우가 많죠. 이때 가장 중요한 공제가 바로 배우자 공제입니다.

배우자 상속공제 개요

  • 최소 5억 원
  • 최대 30억 원까지 공제 가능
  • 배우자가 실제로 상속받은 금액 범위 내 적용

그렇기 때문에 자녀와 배우자가 함께 상속하는 구조라면 상속재산이 10억 원 이상이어도 상속세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.

 

 

상속세 면제한도 계산 시 꼭 확인할 요소

  • 상속인 구성 (배우자 여부, 자녀 수)
  • 일괄공제 vs 개별공제 중 유리한 선택
  • 10년 내 자녀·배우자 증여 이력 포함 여부
  • 금융재산 상속공제 적용 가능한지
  • 동거주택 상속공제 요건 충족 여부

 

 

자주 묻는 질문

Q. 자녀에게 5억까지는 무조건 상속세가 없다?

대부분 그렇지만 증여 이력, 부동산 구성, 공제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정확히는 “약 5억 전후 규모까지는 상속세가 없는 경우가 많다”가 맞습니다.

Q. 자녀가 많으면 상속세 면제가 더 늘어나나요?

자녀공제가 늘어나 공제 총액이 증가합니다. 배우자가 함께 상속받는 구조라면 면제 범위는 더 넓어져요.

Q. 상속세 완전히 피하는 방법은?

상속세는 공제 범위 안에서만 합법적으로 절세할 수 있습니다. 편법이나 탈법은 추후 가산세나 조사 위험이 크기 때문에 공제 제도를 잘 활용하는 방향으로 계획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
반응형